별벗 뜨락
마음의 고백이 담긴 찬양으로
예전엔 여러 교회를 방문하여 예배드릴 기회가 많았었다. 교회를 방문하여 예배드리다 보면 어떤 교회는 매우 가라앉은 분위기 속에 예배드리는 교회들도 있었고, 어떤 교회는 생동감 있는 분위기 속에서 예배드리는 교회들도 있었다. 단지 경쾌한 찬양들과 빠른 템포로 찬양하는 것을 기준으로 해서 그렇다는 것이 아니다. 엄숙하고 차분한 예배를 드리든, 밝고 명랑하게 예배를 드리든 상관없이 그 예배를 드리는 분위기에서 생동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같은 찬송가를 부르고 같은 성경구절을 읽는다 하더라도 어떤 교회의 예배에서는 그 예배 안에 영적인 생동감이 느껴지는 교회가 있는가 하면, 어떤 교회는 아무런 영적 감흥을 느낄 수 없기도 하다. 아무리 장엄하고 느린 찬송가를 부르더라도 그 안에 강력한 힘이 느껴지는가 하면, 어떤 교회에서는 매우 밝고 빠른 찬양을 부르는데도 그저 뭔가 가볍게 떠다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런 차이를 느끼게 되는 것은 예배를 인도하는 자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지만, 예배드리는 자들의 태도에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같은 찬양곡을 부르더라도 마음의 고백을 담아 드리는 찬양과 그저 멜로디에 따라 가사를 지절거리는 것과는 매우 다르다. 아무런 생각 없이 찬송가를 따라 부르거나, 좀 신경을 쓴다 치면 멜로디와 화음에만 집중하면서 찬양하는 것은 온전한 찬양이라고 하기에 부족하다. 내가 부르는 가사가 내 마음의 고백이 되어 하나님을 향해야 하는데, 때론 멜로디에 취해 노래를 불렀지만 자기만의 감성(感性)에 빠져 하나님은 어디론가 사라진 공허한 외침이 될 때도 많다. 가사에 담긴 내용에 감동이 되어 노래하면서도 찬양의 대상이신 하나님은 아랑곳하지 않은, 혼자만의 만족이 되기도 한다. 그러한 모습들은 하나님께서 받으실만한 찬양이 되지 못한다. 찬양은 찬양의 대상이신 하나님께 온전히 향해야 하고, 찬양을 부르는 우리의 마음이 하나님을 바라보아야 한다. 진심이 담긴 그러한 고백이 내 마음과 입술을 통해서 표출될 때 진정한 찬양이 될 수 있다.
주일(主日)이면 교회마다 성도들이 함께 모여 오르간이나 피아노에 맞추어, 혹은 여러 악기들에 맞추어 찬양을 부르지만, 이 찬양의 고백이 하나님께 상달(上達)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화려한 반주나 정교하게 다듬어지지는 못하였어도, 투박하면서도 조촐하더라도 하나님께서 받으실만한 찬양이 하나님께 드려지길 바란다. 익숙한 곡이 아니어서 조금 서툴게 부르더라도, 음치(音癡)이거나 박자를 제대로 못 맞추는 박치(拍癡)여서 자꾸 어긋나더라도 마음을 담아 하나님을 향하여 찬양한다면 하나님께서 그 찬양을 기쁘게 받으실 것이 분명하다.
우리 교회에서 드리는 찬양을 하나님께서 기뻐 받으실까? 그것은 찬양하는 자들에게 달려 있다.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만나 마음을 다하여 하나님께 고백하여 찬양한다면 그 찬양을 하나님께서 기쁘게 받으신다. 우리의 예배마다 하나님께서 받으실만한 찬양이 드려지길 기대한다. 그것은 우리의 태도에 달려 있다.
(안창국 목사)
#찬양
#하나님께서받으실만한찬양
#마음을다해드리는찬양
#찬양은온전히하나님을향해야한다
#찬양의대상이신하나님
#마음의고백이담긴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