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벗 뜨락
예배가 회복되어야 교회가 산다
계속되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함께 모여 드리는 예배가 여전히 제한을 받고 있다. 어떤 분은 굳이 꼭 교회에 함께 모여서 예배해야 하느냐고 반문하면서 어디에서 예배하든 하나님께서는 모두 받으시기에 교회에 함께 모여서 예배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이제 함께 모여서 대면예배를 드리기보다는 온라인 등으로 할 수 있는 대체된 예배 형태로 나아가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물론 시대가 바뀌면서 예배의 형태는 조금씩 바뀌어 왔고, 예배자가 처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예배의 모양새는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예배자가 보다 더 예배를 잘 드리도록 하기 위한 변화여야지 예배의 본질이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 예배는 예배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께 향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코로나19로 인해 교회들의 예배는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회에 나와서 함께 예배하는 인원이 많이 줄면서 예배의 분위기는 상당히 가라앉은 것도 사실이다. 교회마다 서둘러 예배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송출하여 각자의 집에서 화상으로라도 예배를 드릴 수 있도록 대처해오면서 예배의 장소에 나올 수 없는 상황에 있는 이들에게 예배에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비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는 꽤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또 교회마다 온라인 매체를 통해 교회의 사역을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측면은 매우 고무적(鼓舞的)인 일이다.
그런데 교회공동체의 회원 모두가 하나님께 예배하는 공예배(公禮拜) 혹은 공예배(共禮拜)는 가정에서 가족들과 함께 하는 가정예배나 개인적으로 드리는 개인예배와는 그 성질이 매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우리 교회는 주일 예배를 공동체예배라고 부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우리 교회에 속한 모든 성도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하나님께 공동체로서 예배하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각 개인을 만나주시고, 각 가정을 만나주시지만, 교회공동체 전체가 하나님 앞에 나아와 예배할 때 만나주시길 원하신다. 이러한 교회의 공동체성(共同體性)은 공예배를 통해 확인되고 공동체로서 하나님을 알현(謁見)하여 공동체를 향하신 하나님의 만져주심과 역사(役事)를 보여주시는 것이다. 그렇기에 공동체예배는 교회공동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기초적인 지점(支點)이라고 할 수 있다.
예배는 하나님과의 만남이다. 이 예배를 통해서 하나님과 교류하고, 하나님과 소통하며, 하나님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은혜를 누리게 된다. 그렇기에 예배가 살아나면 교회공동체가 살고, 예배가 침체되면 교회공동체는 허약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개인이나 가정에 있어서도 그러하지만 교회공동체에 있어서 예배는 매우 중요하다. 교회의 예배가 살지 않으면 그 교회는 영적 생명력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다. 교회의 예배가 살아야 교회가 산다.
그래서 이제 개척된 지 얼마 안 된 우리 교회이고, 예배에 참여하는 인원수도 적지만 예배에 집중해야 한다. 우리 교회의 예배가 영과 진리로 온전히 드려지도록 마음을 다해 예배해야 한다. 예배가 우리 교회를 살아나게 하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글/ 안창국 목사)
#예배가살아야교회가산다
#예배가회복되어야한다
#예배회복
#공예배
#공동체예배
#예배는하나님과의만남이며소통이다
#공예배는공동체가하나님을만나는시간